반응형
복소수를 다루는 다양한 방법
이 이미지에서는 파이썬에서 복소수(complex number)를 다루는 다양한 방법이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. 아래는 화면의 내용을 해설한 요약입니다.
🧠 복소수 관련 코드 요약 및 설명
1. 복소수 생성
c = 4 + 5j
- c는 실수부가 4, 허수부가 5인 복소수입니다.
2. 실수부와 허수부 접근
c.real # 출력: 4.0
c.imag # 출력: 5.0
- real: 실수부
- imag: 허수부
- 결과는 float 형태로 출력됩니다.
3. complex() 함수로 복소수 만들기
a = 3
b = 4
complex(a, b) # 출력: (3+4j)
- 실수 a, 허수 b를 인자로 넣어 복소수를 생성합니다.
4. 켤레복소수 (Conjugate)
c.conjugate() # 출력: (4-5j)
- 복소수 a+bja + bj의 켤레복소수는 a−bja - bj입니다.
- 이는 복소수의 복잡한 연산을 단순화하거나 실수부 분리를 위한 수학적 기법에서 자주 사용됩니다.
📌 요약정리
복소수 생성 | c = 4 + 5j | 실수 + 허수 |
실수부 추출 | c.real | 4.0 |
허수부 추출 | c.imag | 5.0 |
복소수 함수 | complex(3, 4) | (3+4j) 형태 생성 |
켤레복소수 | c.conjugate() | (4-5j) |
'수학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대수(代數, Algebra)란? (1) | 2025.02.20 |
---|---|
구골플렉스(googolplex) (1) | 2024.12.09 |
점과 선도 도형에 포함될까요? (1) | 2024.07.11 |
피타고라스 정리의 인문학적 접근 (0) | 2024.07.08 |
페르마는 마지막 정리의 증명 과정을 적어 놓지 않았을까? (1) | 2024.07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