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수학 이야기

복소수를 다루는 다양한 방법

by silvermath 2025. 4. 21.
반응형

복소수를 다루는 다양한 방법

이 이미지에서는 파이썬에서 복소수(complex number)를 다루는 다양한 방법이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. 아래는 화면의 내용을 해설한 요약입니다.


🧠 복소수 관련 코드 요약 및 설명

1. 복소수 생성

c = 4 + 5j
  • c는 실수부가 4, 허수부가 5인 복소수입니다.

2. 실수부와 허수부 접근

c.real      # 출력: 4.0
c.imag      # 출력: 5.0
  • real: 실수부
  • imag: 허수부
  • 결과는 float 형태로 출력됩니다.

3. complex() 함수로 복소수 만들기

a = 3
b = 4
complex(a, b)   # 출력: (3+4j)
  • 실수 a, 허수 b를 인자로 넣어 복소수를 생성합니다.

4. 켤레복소수 (Conjugate)

c.conjugate()   # 출력: (4-5j)
  • 복소수 a+bja + bj의 켤레복소수는 a−bja - bj입니다.
  • 이는 복소수의 복잡한 연산을 단순화하거나 실수부 분리를 위한 수학적 기법에서 자주 사용됩니다.

📌 요약정리

복소수 생성 c = 4 + 5j 실수 + 허수
실수부 추출 c.real 4.0
허수부 추출 c.imag 5.0
복소수 함수 complex(3, 4) (3+4j) 형태 생성
켤레복소수 c.conjugate() (4-5j)